[서버]grep을 사용한 검색

linux 2006. 12. 15. 09:48 |

메일 큐에 있는 파일들중에서 특정한 송신자를 찾기위한 명령어

find . -name “*.qm” -exec grep “From:.*@abc.co.kr*” {} \;

Posted by salgunamu
:

패킷을 덤프하는데 ngrep은 패킷의 내용을 보여주니깐 좋아보인다. 일하다가 HTTP에 대한 trace를 할 필요가 있어서 윈도우용 ngrep를 구해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이용한다..
ngrep -d 2 -W byline -l -s 1600 port 80 and host 10.10.10.1

-d 2 : 스니핑할 인터페이스의 인덱스를 지정하는건데 윈도우에서 이 인덱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모른다…
-W byline : 내부의 패킷을 라인단위로 출력해주어서 보기가 훨씬 편하다.
-l : 출력버퍼를 사용한다고 한다.. 화면에 보여지는 속도가 빠른듯하여서 사용..
-s 1600 : 이것을 패킷의 사이즈때문에 사용하는것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다…

-O 파일명 : 덤프결과를 파일명으로 저장
-I 파일명 : 저장한 파일로 부터 읽어 들이는 경우

port 80 and host 10.10.10.1 : 조건식… tcpdump, windump등 다른 패킷덤프 툴에서 사용하는 조건식들과 비슷한 방식인듯..

Posted by salgunamu
:

Upgrade from 6.06 LTS

If you want to upgrade from 6.06 LTS to 6.10, run the following command (either via ALT-F2 or a terminal):

gksu "update-manager -c"

The “-c” switch instructs Update Manager to look for upgrades at all. By default the 6.06 LTS release will not offer that automatically because of its long support cycle and high stability.

If you have a working network connection, it should then inform you about a new release and offer to upgrade your system.

Posted by salgunamu
:

우분투를 모니터 연결을 안하고 부팅을 하고 나면 화면 해상도가 가장 낮은 해상도로 되어서 VNC연결을 하면 화면이 너무 작게 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Re: How get higher resolution if no screen connected?

Ok, you’re going to have to edit your /etc/X11/xorg.conf file.
First thing I would do is back it up. Do a

sudo cp /etc/X11/xorg.conf /etc/X11/xorg.conf.backup1

in case we mess up something you have a clean copy to replace your edited one.

next we will edit your /etc/X11/xorg.conf file

sudo gedit /etc/X11/xorg.conf

What you want to look for is the section describing your monitor, it usually follows your Section “Device. On mine it looks like this.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Option “DPMS”
EndSection
^^^^^^^^original monitor section^^^^^^^
yours might look like the above

When my xorg.conf file was originally created there was no
HorizSync and VertRefresh entries in my Monitor description I added those manually.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Option “DPMS”
HorizSync 30-85 <– entries I
VertRefresh 48-120 <– added
EndSection
^^^^^^^^modified monitor section^^^^^^^

If you don’t know the values for your monitor you can probably just use standard SVGA ones. All I know is that I couldn’t get higher resolutions until something was entered into those two entries.

After you edited xorg.conf save it and exit gedit.
Next you’ll have to restart your xserver or gdm for the new edited /etc/X11/xorg.conf to take effect. Or you can just reboot. To restart gdm if you don’t want to reboot you can do a
Ctrl-Alt-F1 to get to a console login screen, login with your username and do a
sudo /etc/init.d/gdm restart

Posted by salgunamu
:

우분투에 삼바를 구성하고 프린터 공유를 했는데 Windows시스템에서 프린터를 연결하면 상태에 제목과 같은 에러가 나온다. 하지만 프린트는 정상적으로 되고….
문서를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었다..

Try adding
disable spoolss = yes
to global and
use client driver = no
to your print share.

Posted by salgunamu
:

MAC address변경방법

linux 2006. 8. 29. 07:12 |

MAC address변경방법에 대하여 Wikipedia에 잘 정리된 부분이 있어서..
http://en.wikipedia.org/wiki/MAC_address#Changing_addresses

==> IP관리 솔루션에서 MAC을 변경할때에는 /etc/rc.sysinit의 basp, bcm5700드라이버가 올라간 후에 하드웨어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부분을 넣어주면 가능하다.

Posted by salgunamu
:

무선랜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설정을 했지만 WEP키가 다 안들어 가서 그런지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iwconfig명령을 이용하여 직접 아래와 같이 연결하니 연결이 되었다..
iwconfig ath0 essid "XXX" enc F*26
iwconfig의 구성파일이 어디에 놓이는지을 한참을 찾았는데…헐…기존의 network의 interface파일에 같이 정보를 넣어주는 것이었다..

auto eth1iface eth1 inet dhcp        wireless_essid  Antoli        wireless_mode   Managed        wireless_key    s:mykey        wireless_rate   auto        wireless_nick   sofi#       wireless_power  period 2 #       wireless_power  1#       wireless_power  timeout 300u all
Posted by salgunamu
:

우분투 자동로그인설정

linux 2006. 8. 29. 01:46 |

우분투에서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는 방법이 텍스트로 하는것도 있지만 gdmsetup을 실행해서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고 함…

Posted by salgunamu
:

우분투 locale설정

linux 2006. 8. 21. 02:12 |

Ubuntu Dapper에서는 locale정책이 인스톨시에 선택한 언어로 바뀌었다.
무슨 말이고 하니, 만약 설치시에 한국어를 선택했다면 선택할 수 있는 언어는 영어와 한국어 두가지 뿐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UTF-8로 로케일이 자동 설정된다는 것이다.

덕분에 삽질…

로케일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첫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 EUC-KR을 추가시켜 준다.

sudo locale-gen ko_KR.EUC-KR

두번째 방법은 마찬가지로 EUC-KR을 추가시켜 주는 방법인데 /etc/enviroment에 바로 추가시켜 주는 방법이다.
본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PATH=”/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bin/X11:/usr/games”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en_GB:en”
다음과 같이 내용을 추가한다.
PATH=”/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bin/X11:/usr/games”
LANG=”ko_KR.UTF-8″
LANG=”ko_KR.EUC-KR”
LANGUAGE=”ko_KR:ko:en_GB:en”

그리고 재부팅하고 Xwindow로 들어가면 EUC-KR로케일을 선택할 수 있다.

Posted by salgunamu
:

우분투를 시작하면서

linux 2006. 8. 14. 07:29 |

요즘들어 Digg기사를 읽다가 보니 우분투(Ubuntu)가 많이 등장하는 것을 느꼈다. 뭘까? 궁금함에 검색을 해보니 새로운 리눅스 배포판 이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리눅스 배포판 중에서는 데비안을 많이 선호하는 편인데 데비안을 기반으로 한 리눅스라서 끌리기 시작했다. 인터넷을 기사들을 보니 인기가 많은 리눅스 배포판인가 보다. 어쨌든 한번 설치를 해보고 사용중인데 사용중에 모르는 내용을 알게되었다..

== UTF-8로 변환중??
얼마전에 CentOS를 설치하면서 한국어 언어가 UTF-8로 설정되는 것을 보고 만드는 사람들이 잘못 만들고 있다고 느꼈는데 아래의 글을 읽어보니 현재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들이 UTF-8로 나오는 추세라고 한다.
—————————————————————
UNIX 계열 공통이라고 적었지만 사실은 최근 Linux 배포판을 쓰는
사람에게만 해당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얘기이다.
최근 Linux 배포판들이 UTF-8기반으로 나오면서 MS Windows에서
가져오는 파일들은 파일명이나 내용이 깨지기 일수 있다.
혹은 Linux에서 만든 파일을 MS Windows로 옮길때도 마찮가지이다.

그래서 UTF-8 을 euc-kr로 변환혹은 그 반대인 euc-kr 을 UTF-8로 변환을
해주는 명령을 소개하고자 한다.

파일의 내용(text)을 변환하는 명령이다.(euc-kr 을 UTF-8으로)

$ iconv -c -f utf-8 -t euc-kr 원본 파일명 > 변환될 파일명

-c (출력시 잘못된 문자는 무시) -f (원래 문자코드) -t (바꿀 문자코드)

파일의 이름(name)을 변환하는 명령이다.(euc-kr을 UTF-8으로)

$ convmv -f utf-8 -t euc-kr –notest 파일명

-f와 -t 옵셥은 iconv와 같고, –notest는 바뀐파일명을 원래 파일 명에 덮어 쓴다.
이제 제대로 된 한글 파일명을 보자!!

Debian계열이라면 apt-get install convmv iconv 로 받으면 되고,
그외 배포판에 패키지가 없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소스를 받아서 설치하자.
http://j3e.de/linux/convmv/
————————————————————-
단적으로, 우리 학교만 보아도 UTF-8보다는 EUC-KR의 사용량이 많다.
www.ksa.hs.kr EUC-KR
with.ksa.hs.kr EUC-KR
webhard.ksa.hs.kr EUC-KR (여긴 웬만하면 따라가지 마세요)
vod.ksa.hs.kr EUC-KR
ebook.ksa.hs.kr EUC-KR
linux2.ksa.hs.kr EUC-KR (webhard.ksa.hs.kr과 같은 IP를 쓰는 곳으로 추정됨)
test.ksa.hs.kr EUC-KR
ubuntu.ksa.hs.kr UTF-8 (/~sarahkjg 제외)
이 외에도 내가 모르는 KSA 내부 웹 사이트가 있을 것 같고 이것들은 DNS의 conf 파일을 뜯으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아직도 한국 사용자들은 UTF-8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것 같다. 현재 대부분 리눅스 배포판들이 UTF-8로 갈아타고 있으며, Windows XP를 제외한 많은 OS가 기본 인코딩은 UTF-8로 사용한다. 하지만, 국내의 UTF-8에 대한 인식은 Internet Explorer에서 단지 URL을 항상 UTF-8로 보내기를 끄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라는 것 밖에는 없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UTF-8은 외국어를 위한 인코딩이라서 한글에는 쓸 필요가 없다는 사람들도 더러 있었고, 실제로 예전에 학생회 홈페이지에서 내 서버의 html 파일을 불러와서 쓴 적이 있었을 때 UTF-8 때문에 사람들이 꽤 고생했다고 할고 있다.
이번에 학교 내부적으로 새로운 웹사이트를 몇 개 개통했고,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모두 EUC-KR이었다. 나 같은 경우는 공지사항에도 밝혔듯이 여러 이유로 UTF-8을 쓰게 되었고, 프랑스어 악쌍들을 모두 잘라먹는 EUC-KR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혐오감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기존 많은 자료들은 EUC-KR/CP949 인코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갑자기 UTF-8로 바꿔 버린다면 분명히 호환성 문제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UTF-8 인코딩을 쓸 수 있는 컴퓨터의 대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기존 자료들을 손실 없이 UTF-8로 바꿀 수 있는 방법도 많다. 한국 전용 표준들을 밀고 나갔다가 된통을 많이 당했던 것처럼, 이제 우리도 기존 자료 호환성이란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UTF-8로 강력하게 밀고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Posted by salgunamu
: